한국어로 다양한 한국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디디의 한국문화 팟캐스트에 오신 여러분 반갑습니다. 여러분 저번 한 주도 다들 잘 지내셨나요? 이 팟캐스트를 듣고 있는 지금 그곳은 몇 월 며칠인가요? 날짜를 한번 이야기해 주실 수 있을까요? 몇 월 며칠인가요? 역시...
제 팟캐스트를 들을 정도면 역시나 날짜 정도는 가볍게 이야기해 주실 수 있네요. 지금 이 팟캐스트를 찍고 있는 오늘은 여기는 6 월 3 일입니다. 그런데 혹시나 저랑 같은 달에 듣고 계시는 분 6 월이 아니라 6 월이라고 잘 발음하셨나요? 만약에 잘 발음했다. 그러면 자기를 칭찬해 주시고요.
6 월이라고 하는 거 몰랐어요. 6 월이라고 했어요. 하시는 분들은
걱정 마세요. 오늘 이 팟캐스트를 누른 거 아주 잘했습니다. 왜냐하면 오늘 제가 이 달력 시스템들을 좀 다양한 이야기들과 함께 말씀드릴 예정이거든요. 그러니까 끝까지 잘 들어주시고요. 지금은 2025 년 6 월 3 일이라서 오늘은 한국의 대통령 선거일이었습니다. 새로운 대통령을 뽑기 위해서 투표를 하는 그런 날이었는데요.
저도 오늘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투표를 금방 하고 왔습니다. 그래서 인증샷이라고 하죠. 투표를 잘 마쳤습니다 하는 그런 사진을 찍기 위해서 여기 손등에 도장도 찍어서 여러분들한테 보여드리려고 찍었는데 손을 씻으니까 이 도장은 금방 스탬프가 금방 지워졌어요. 그래서 사진으로 대신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직은 대통령이 누가 될지
발표가 나지 않아가지고 이 팟캐스트를 찍는 이 당시는 지금은 발표가 나지 않아서 누가 될지 잘 모르겠지만 부디 한국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주실 수 있는 분이 대통령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 마음입니다 저 역시나 이렇게 외국인 분들에게 한국을 알리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으니까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주실 수 있는 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 팟캐스트가 올라가는 날은 아마 6 월 6 일일 거예요. 6 월 3 일 대통령 선거일도 그렇고 6 월 6 일도 그렇고 한국에서는 공휴일입니다. 공휴일 다들 아시나요 여러분? 어떤 거죠?
공휴일은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오늘은 쉬세요 하고 정해준 날입니다. 그래서 또 다른 말로는 빨간날이라고 그냥 별명처럼 부르기도 하는데 달력에 보면 이렇게 일요일이 보통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어 있고요. 그리고 쉬는 날도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들이 있거든요. 그래서 한국인들은 빨간날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한국의 달력 시스템을 한번 리마인드 해보면서 읽는 방법을 좀 연습해보면서 동시에 한국에 있는 공휴일 이런 것들을 이야기해보는 그런 시간으로 가져볼까 합니다. 우선은 6 월 6 일 이 팟캐스트가 올라가는 날이니까 6 월 6 일이 무슨 날이냐를 인트로에서 먼저 좀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6 월 6 일은요. 한국에서는 현충일이라고 부르는 날이에요. 현충일은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서 희생하신 분들, 그런 분들을 추모하는 날이 현충일이에요. 이게 무슨 이야기냐면 전쟁 중에
한국을 지키기 위해 싸우다가 돌아가신 분들 혹은 공무원분들 있잖아요. 한국,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위해서 열심히 일하시는 분들 예를 들면 소방관이라든지 경찰관 이런 분들 있잖아요. 그런 분들께서 일을 하시다가 돌아가셨거나 그런 경우가 있단 말이죠. 그래서 그렇게 돌아가신 분들을
생각하고 다시 떠올리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그런 날이 현충일입니다 그래서 현충일은 아침 10 시가 되면 길거리에서 사이렌 소리가 들립니다
하는 그 사이렌 소리가 들리거든요. 1 분 동안 그 사이렌이 계속되는데 그거는 어떤 의미냐면 1 분 동안 돌아가신 분들을 생각하고 그분들을 위해 기도드리는 시간을 위해서 있는 아이셔입니다.
알림음이에요. 그래서 오늘 아침도 아마 한국에 계신 분들 중에는 그 사이렌 소리 들으신 분들 있었을 것 같은데 놀라시진 않으셨나요? 그거는 매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저도 다른 나라 공휴일은 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한데
이번 에피소드를 들어보시면 한국에서는 어떤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는지 모두 다 알아가실 수가 있으니까 오늘도 끝까지 재밌게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러면 지금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영상으로 보고 계시는 분들은 알겠지만 제가 지금 안경을 쓰고 있는데
이게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이에요. 근데 이 안경을 쓴 이유가 오늘은 제가 조금 선생님처럼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릴 내용들이 많아가지고 선생님처럼 하고 싶어가지고 안경을 썼는데 그냥 집에 있는 거 좋아하는 그런 집순이 느낌이 되어버렸습니다. 자 그러면 우리 달력 쭉 보면서 이야기해볼까요? 먼저 한국의 달력 시스템
몇월 며칠인지 이야기하는 거 이거 어떻게 하는지 다들 아시죠? 한국은 그냥 숫자 플러스 월, 숫자 플러스 일 이렇게 이야기하면 돼요. 그래서 1, 2, 3, 4, 5, 6, 7, 8, 9, 10, 11, 12 있잖아요. 그거를 그냥 1 월, 1 일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되는데
6 월, 10 월처럼 6, 10 에 해당하는 월에만 받침이 없어지죠. 6 월, 10 월이 아니라 6 월, 10 월이 됩니다. 발음이 훨씬 쉬워져요. 그래서 다른 나라 날짜 시스템을 제가 모든 나라를 알지는 못하지만 제가 공부하는 영어 그리고 일본어랑 비교를 해보면 한국어의 달력 시스템만은 조금 쉬운 것 같다.
레벨 1 정도인 것 같다라고 생각을 해요. 예를 들면 시계 읽기 이런 거는 제가 어려운 거 인정하거든요. 근데 달력은 너무너무 쉽기 때문에 마스터해봅시다. 왜 영어 같은 경우는
몇월인지에 따라서 그 이름이 다 정해져 있잖아요. 예를 들어서 1 월이면 January, 2 월이면 February, March, April, May, June, July, August, September, October, November, December 까지 이름이 다 정해져 있잖아요. 그리고 일본은 또 날짜 시스템이 1 일, 2 일, 3 일, 4 일을 얘기할 때
숫자를 하는 게 아니라 얘네들도 또 이름이 다 정해져 있어요 1 일부터 10 일까지 그래서 저는 아직까지도 그걸 다 못 외웠습니다 뭐 1 일이 뭐였지? '츠히타치'였나요? 그렇게 이름이 다 있습니다 저는 영어 같은 경우는 아직도 'february' 그 스펠링이 가끔씩 헷갈리고요 일본어 일자는 또 아직 다 못 외웠는데 한국은 좀 쉽기 때문에 여러분 오늘 다 마스터 해봅시다
실수하지 않을 정도로 그러면 1 월부터 12 월까지 한국에 있는 공휴일들 소개해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월에는 어떤 공휴일이 있냐면 우선은 그쵸 1 월 1 일 해피 뉴 이어 해야 되기 때문에 1 월 1 일 신정 날이 있습니다. 신정 이때는 공휴일로 정해서 매년 쉬고 있고요. 그리고 음력으로 또 1 월 1 일이
설날이라고 해서 한국의 큰 명절 두 가지 큰 명절 중에 하나죠. 설날 연휴를 쉬고 있습니다. 이거는 음력이기 때문에 매년 날짜가 바뀌어요. 1 월일 때도 있고 2 월일 때도 있습니다. 올해는 1 월 29 일이었어요. 설날이. 그래서 설날은 보통 그 설날 당일 전날이랑 다음 날을
같이 쉬거든요. 3 일 동안 쉬어요. 그래서 이게 주말이랑 잘 만나면 5 일 이렇게 쉬기도 하니까 굉장히 직장인들이나 학생들한테는 선물 같은 그런 공휴일입니다. 명절이자 공휴일. 이게 1 월이었고요. 그러면 이제 2 월 한번 볼까요? 2 월은 공휴일이 없습니다. 공휴일이 없네요. 아쉽습니다. 1 월에 두 번이나 쉬었으니까 2 월에는 그냥
조용히 열심히 또 다음 공휴일을 기다려야 되네요 그런데 가끔은 설날이 2 월이기도 하니까 또 거기에 맞춰서 2 월에도 공휴일이 있는 날도 있습니다 그러면 또 다음 월은 몇 월이죠? 그렇죠 3 월입니다 3 월은 있어요 3 월 1 일이 있습니다 3 월 1 일은 3.1 절이에요 3.1 절은 어떤 날인지 다들 아시나요?
3.1 절은 대한민국이 일본의 지배를 받고 있을 때 과거 역사 속에서 역사 속의 이야기인데 한국이 일본의 지배를 받고 있을 때 한국은 일본 지배를 받는 나라로 남을 수 없어 한국은 자유로운 유일한 나라입니다 라고 외치는 그런 운동을 한 때가 있었어요 그게 3 월 1 일이었기 때문에
역사 속에서 굉장히 중요한 날이에요. 그래서 3 월 1 일을 공휴일로 정해서 아직까지 기념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는 없네요. 없습니다. 3 일절 하나 있어요. 그리고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면 몇 월이죠? 그렇죠. 4 월입니다. 4 월. 4 월에는 공휴일이 음력 공휴일이 있어요. 음력 4 월 8 일이
한국에서는 석가탄신일이라는 공휴일인데요 석가탄신일은 부처님의 생일입니다 크리스마스처럼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일이에요 생신 그래서 원래는 5 월 5 일 어린이날이랑 겹쳤는데 이것도 음력이기 때문에 매월 바뀌는 그런 공휴일입니다 이제 그 다음 몇 월이죠
네 5 월입니다 5 월 5 월에는 하나 있네요 5 월 5 일 어린이날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어버이날 근로자의 날 스승의 날 이런 것들이 있는데 공휴일 공식적으로 쉬는 날은 어린이날 하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몇월이죠? 6 월이 아니라 6 월, 그쵸? 6 월입니다. 6 월에는 아까 말씀드렸던 6 월 6 일, 현충일이 있어요. 그리고 6 월 23 일, 이것은 디디의 생일날이라고 해서 또 굉장히 중요한 날로 생각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7 월, 아이고 다들 맞추셨죠? 7 월 한번 볼까요?
7 월은 아 7 월 17 일 재헌절이라고 있는데 이거는 공휴일은 아니지만 국경일이라고 해서 한국에서 좀 축하하는 그런 날이에요. 아까 얘기했던 3 일절 이런 것도 다 국경일이거든요. 재헌절은 어떤 날이냐면 한국의 법, 기초적인 법이 처음으로 만들어진 날입니다. 그래서 그것도 기념하는 날이 있지만 이게
몇 년 좀 오래 전에 공휴일이었다가 없어졌어요. 이것은 굉장히 또 직장인들과 학생분들에게는 아쉬운 일인 것 같아요. 이제 넘어갈까요? 다음은 몇 월이죠? 8 월 맞습니다. 8 월에는 있어요 있어요 있어요. 8 월 15 일 광복절이 있습니다.
아까 3 월 1 일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어서 운동을 했던 날이었다면 8 월 15 일은 실제로 해방이 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국경일이자 공휴일이에요 광복절이라는 날입니다 8 월 15 일 올해는 금요일이네요 그러면 금, 토, 일 이렇게 쉴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또 이것도 기쁘네요 기쁜 소식입니다
네 그럼 다음 몇 월이죠? 9 월이죠. 9 월은 없습니다. 한 번 보고 두 번 봐도 없어요. 9 월에는 또 새학기가 보통 시작되는 월인데 이때는 또 열심히 새학기 시작했겠다. 열심히 공부하고 일하고 해야겠네요. 아쉬워라. 이제 다음 월 한번 볼까요? 몇 월이죠?
10 월입니다. 10 월 아니고요. 10 월이고요. 10 월에는 올해는 굉장히 빨간 날이 많네요. 이때 여행가기 딱 좋... 우선은 공휴일, 10 월 3 일 개천절이 있어요. 개천절은 제가 자세히 이야기한 팟캐스트가 있는데 대한민국이기 전에, 대한민국이 대한민국이기 전에
이 땅에 처음으로 나라가 생겼는데 그 이름이 고조선이었거든요. 고조선이 처음 생겼던 날 그걸 기념하는 날이 10 월 3 일입니다.
그리고 아까 제가 소개를 못해드렸는데 8 월에 음력 8 월 15 일이 추석이에요. 이것도 설날이랑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큰 명절인데 당일이랑 전날, 다음날 합쳐서 3 일까지 쉬는 명절입니다.
그런데 올해는 이게 음력이라서 또 10 월에 쉬게 되어 있네요 그래서 10 월 대박인데요 10 월 3 일, 4 일, 5 일, 6 일, 7 일, 8 일, 9 일까지 3, 4, 5, 6, 7, 8, 9 일까지 한국은 연휴, 휴일, 공휴일입니다 세상에 아! 10 월 3 일 개천절이 있었고요 그 다음으로 또 한 가지 공휴일이 있는데 이거는 10 월 9 일 한글날입니다
한글이 처음으로 발표된 날, 그걸 기념하는 날이 10 월 9 일 한글날이에요. 그리고 11 월, 아이고야. 11 월에는 아무것도 없어요. 괜찮아요. 10 월에 많이 쉬었으니까 11 월에는 또 열심히 일해야죠. 11 월 넘어가고요. 이제 마지막, December. 마지막은 12 월이죠. 12 월. 12 월에는 하나 있습니다. 뭘까요?
12 월 25 일 크리스마스가 한국에서는 공휴일로 지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마지막 공휴일까지 소개를 드려봤습니다. 한국은 총 15 개의 공휴일이 있어요. 그래서 꽤나 많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들고요. 또 한국의 공휴일의 좀 특이한 점, 제가 생각했을 때 특이한 점은
부처님 생신이랑 예수님 생신, 크리스마스까지 함께 축하를 하고 그걸 공휴일로까지 지정을 했다는 게 저는 좀 신기한 것 같아요. 왜 한국이 그렇게 종교적인 나라는 아니거든요. 예를 들면 미국 같은 경우는 크리스천 배경이 되게 많잖아요. 그런데 한국은 그렇지 않아요. 엄청나게 매주된
그런 게 아닌데도 이렇게 공휴일로 정했다는 게 좀 신기한 것 같고요. 그리고는 역시나 설날이나 추석처럼 그런 큰 명절들 음력으로 따지기 때문에 매년 바뀌는 그런 큰 명절들이 있다는 것도
특이한 포인트지 않을까 좀 재밌는 내년은 언제 쉴까 이런 것들을 기다리게 만드는 그런 포인트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네 그래서 저는 오늘 이렇게 한국의 공휴일들을 전부 다 말씀을 드렸는데 저는 다른 나라의 공휴일들을 다 알고 있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 팟캐스트 굉장히 다양한 나라에서 많이 들어주고 계시기 때문에 여러분들 나라에서 이 한국의 공휴일들과 좀 비슷한 날이 있다거나 아니면 완전히 다른 우리나라에만 있을 것 같은 그런 공휴일이 있다 좀 특이한 공휴일이 있다 하시는 분들이라면 그거 댓글로 꼭 많이 많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팟캐스트도 그렇고 유튜브도 그렇고 조금 댓글을 읽어보는 그런 재미도 있지 않나요? 근데 제
팟캐스트 댓글에는 굉장히 다양한 나라에서 오신 분들의 정보를 공유할 수가 있기 때문에 꼭 많이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 그러면 다들 한국의 달력 읽는 방법 공유일들 다들 마스터하셨나요?
한국의 공휴일은 보통 사람이 정말 많기 때문에 어디를 가도 쉬는 날이니까 어디 놀러 가시거나 할 때 좀 참고해 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디 식당을 가도 웨이팅이 좀 길 수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도 한번 체크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네 그러면 여기까지 한국의 달력 그리고 공휴일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네 그래서 6 월에는 두 개의 공휴일이 있는데요 제가 프리랜서가 된 지 이제 1 년 2 년 정도가 됐나요 그러다 보니까 저의 인생에는 공휴일이 없습니다 공휴일이라는 게 딱히 없어요 그냥 어제도 똑같고 오늘 공휴일이지만 똑같습니다 그런데 또 이거를 거꾸로 생각을 해보면 저한테는 매일매일이 공휴일이에요
그래서 여러분들 다들 프리랜서 하세요.
사실 저도 나름의 단점도 있습니다. 매일 일을 한다. 조금이라도 일을 하고 공휴일에 보통 회사원들이나 학생분들은 어디 놀러 가고 이러잖아요. 그런데 저는 똑같이 일하고 여행을 가도 저는 일을 하고 그렇기 때문에 이런 단점도 있긴 하지만 좋은 게 좋은 거라고 긍정적으로 생각을 해보면 매일매일이 공휴일이다. 나는
여러분들도 일상생활 보내시면서 공휴일만 이렇게 기다리면서 열심히 살고 계실텐데 빨리 공휴일이 찾아왔으면 좋겠고요 여러분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러면 마지막으로 공지사항 하나 드리고 마무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디의 한국문화 팟캐스트는 페이트리온 그리고 유튜브 멤버십을 하고 있어요. 이런 팟캐스트가 계속해서 더 좋은 주제, 더 재밌는 주제를 가지고 만들 수 있도록 응원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눌러서 저한테 마음을 보내주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후원해주시는 분들 언제든지 페이트리온 메시지로라든지 아니면
유튜브 댓글로 주제 추천해주시면 제가 제일 먼저 참고해서 팟캐스트 만들어보려고 하니까 언제든지 듣고 싶은 주제 있으면 그것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 그러면 오늘도 팟캐스트 끝까지 듣느라 고생 많으셨고요. 저는 다음 팟캐스트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여러분 모두 좋은 하루 좋은 밤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