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raw_text>0 생활백서 오늘은 경기도와 함께합니다. 경기도의 전국 최초로 새로운 매점이 문을 연다고 합니다. 이른바 대학생 천원 매점인데요. 어떤 매점인지 자세한 내용 알아보죠. 경기도 정영호 사회혁신기획과장 전화 연결합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세요. 경기도 사회혁신기획과장 정영호입니다.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대학생 천원매점에 대해 오늘 이렇게 인사드리고 말씀드리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대학생 천원매점, 전국 최초라고 말씀을 하셨는데요. 어떻게 이런 사업을 하시게 됐나요?
최근 고물가와 더불어 대학 등록금 인상까지 겹치면서 우리 대학생들이 학업 외에 식비 등 생활비에 대한 경제적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혁신정책으로 경기도는 대학생들의 생활비 부담을 좀 덜어주고 청년들의 미래를 응원하고자 대학생 천원매점 사업을 전국 최초로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이건 단순한 복지 사업을 넘어 민간과 경기도 그리고 대학이 협력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어떤 경기도만의 사회혁신 정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천원 매점이면 어떤 방식으로 운영이 되나요?
이 사업은 세 단계로 진행이 됩니다. 먼저 기업의 ESG 활동과 연계하여 후원금과 식료품 등 기부 물품을 모집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 나눔 문화를 확산시킬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대학교 학생들과 협업하여 유휴 공간을 활용하고 기본시설을 갖춰 매점 공간을 저희가 조성을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기업의 기업의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의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을 활용하여 기업
마지막으로 학생증 인증을 통해 매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며 특히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직접 매점 운영에 참여하고 협동조합 등의 설립을 통해 사회적 경제 체험의 기회와 매점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청년들이 주도하는 사회적 가치 창출 모델을 저희 구현할 계획입니다. 그러면 말 그대로 이 매점에서는 모든 물건이 다 천원인가요?
그렇죠. 모든 물건이 다 천 원에 판매합니다. 어떤 물건들이 있나요? 매점에서는 주류나 담배 등 기호식품을 제외한 식료품 및 생필품 위주의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예를 들자면 즉석밥, 컵밥, 김, 시리얼, 샴푸 등 학생들이 일상에서 자주 필요로 하는 물품들로 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하여 최종 구성될 계획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 혜택인데요. 시중가 대비 최대 90% 이상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학생들이 3개 내지 5개 품목을 묶어 천 원에 이용하게 됩니다.
모든 물건이 다 천 원이면 굉장히 파격적인 가격이잖아요.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 싶은데요. 이게 저희가 민간 기업의 사회적 후원을 받아가지고 후원금을 활용해서 지금 저희가 대학생들한테 물품을 지원하는 그런 체제로 지금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게...
천원이라는 것도 굉장히 의미가 있는 가격 같은데요. 이게 천원은 낮은 문턱을 상징합니다. 누구나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금액으로 이 상징적 가격을 통해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혁신 모델을 경험하도록 구상했습니다. 또한 유료로 이용하는 이유는 첫째 무료로 제공할 경우 복지 낙인의 우려가 있습니다.
천원의 가격은 학생 스스로 가치를 지불하면서 당당하게 이용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점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인건비와 관리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저희가 천원을 받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운영기반도 마련하고 매점에 근무하는 학생들에게도 소정의 활동비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청년들이 주도한다고 앞서 말씀하셨거든요. 그러면 이 매점에서는 판매하는 사람도 학생이고 물건을 사는 사람도 학생만 가능하고 이렇게 되는 건가요? 네. 대학에 있는 학생들만 물건을 살 수 있고요. 네.
그다음에 판매하는 것도 대학생들이 아르바이트 형식으로 대학생들이 직접 판매를 합니다. 그래서 운영 자체를 대학의 총학생회가 주도해서 운영하게 됩니다. 그렇군요. 전국 최초라고 앞서 말씀을 하셨는데 다른 곳에는 이런 약간 유사한 사업들도 곳곳에 있는 것 같아서요. 특별한 어떤 차별점이라면 어느 부분에 있을까요?
보통 천원의 아침밥을 많이 연상을 하시는데요. 천원의 아침밥은 쌀의 소비 촉진하고 건강한 아침밥을 학생들한테 제공한다는 취지도 있고요. 그리고 정해진 식단에 의해서 학생들이 이용하게 되는데요. 저희 대학생 천원 매점은 학생 수요에 맞춰서 완제품 식사류와 더불어 반찬류, 간식류,
생필품류 등 다양한 품목들을 제공할 계획이고요. 또한 사업비가 민간기부로 조성된 비영리 사업이라는 점 또 주목할 만합니다. 저희 사업은 민간의 자발적 기부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요.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운영한다는 점에서 경기도만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저희가 자부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대학생 천원매점은 경기도에 있는 대학교에 들어가 있는 건가요?
네, 그렇습니다. 현재 경기도 내에 있는 두 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요. 제가 설명을 드리면 올해 경기도 내 대학을 대상으로 저희가 공개 모집을 통해서 가천대학교와 평택대학교 두 곳을 선정을 했고요. 9월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지난 6월에 업무 협약을 했고요. 업무 협약 이후에 언론이나 대학들의 문의와 관심이 뜨겁습니다. 그래서 저희도 이 사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많음을 새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그러면 대학교 두 곳에서만 천원매점이 있는 거네요?
9월부터 시범사업으로 두 곳만 진행을 하고요. 점진적으로 넓혀갈 계획입니다. 다른 대학생들이 굉장히 부러워할 것 같습니다. 저희도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이 돼서 경기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면 하는 그런 바람입니다. 물건도 진짜 많은가요? 다양한 물건들이? 점점 물건도 늘리실 계획이고요? 네. 지금 일단 수요를 저희가 파악하려고 하는데요. 처음에 20~30
20~30여 개 종류로 시작을 했다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물품들이 있으면 계속 확충할 계획입니다. 그렇군요. 알겠습니다. 전국 최초로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대학생 천원 매점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셨습니다. 경기도 정영호 사회혁신기획과장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세기론 라디오 생활 이슈 초대석 시간입니다. 7월이 됐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습한 무더운 여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죠. 이렇게 무더운 여름이 되면 안타까운 산업재해 사고들이 많이 발생합니다. 오늘의 손님은요. 일하는 근로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우선으로 지키는 곳이죠. 안전보건공단에서 오셨습니다. 안전보건공단 김현중 이사장 모셨습니다. 이사장님 어서 오세요. 안녕하세요. 저희 인사 한 말씀 부탁드려요.
슬기로운 라디오 생활 청취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안전보건공단 이사장 김현중입니다. 오늘은 슬기로운 라디오 생활을 하는 여러분께 안전의 중요성을 알려드리러 나왔습니다.
네, 어서 오십시오. 이사장님. 네, 감사합니다.
요즘에 너무 많이 날이 덥죠? 덥습니다. 그렇죠. 이렇게 더울 때일수록 더워지니까 더욱더 근로자들 많이 생각을 하고 계실 것 같아요. 맞습니다. 한국노총 부위원장 역임하시고 올해 초에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으로 취임을 하셨는데요. 어떠세요? 한국노총.
한국노총 부위원장이실 때 바라보는 어떤 근로 현장과 산업재해 그리고 지금 바라보는 어떤 근로 현장과 산업재해 좀 다르게 느껴지세요? 네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노동자 활동할 당시에는 늘 재해 예방이 우선이라는 신념으로 근로자의 권익 개선과 노동 환경 보호 등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정책 개선을 요구했다면.
공단 이사장으로서는 안전보건에 대한 역할과 대상이 구체화되고 이에 대한 책임이 보다 명확화되었다는 게 다른 점입니다. 저희 SNS 대화 프로필에는 안전, 자유, 평등이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회에 해오고 있는 것처럼 안전은 이전에도 그렇고 지금까지 항상 생각해온 중요한 가치입니다.
산업재해방지 책임자로서 무거운 역할과 사명감으로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현장에 도움이 되는 예방대책을 수립해서 한 명의 근로자라도 덜 다치고 소중한 생명이 보호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안전보건공단은 산재 예방 전문 기관입니다. 관련 분야에서 정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계실 텐데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수준 어느 정도인가요? 우리나라 산업재해 수준은 현재
한 해 800명대의 사망사고가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서는 낮지만 근로자 1만 명당 사고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사고 사망 만인율이 0.39%로 OECD 국가들 중에서는 최하위 수준입니다.
하루 평균 2명 이상의 근로자가 사고로 목숨을 잃고 사고 유형도 추락이나 끼임 등 후진적인 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경제와 문화 수준이 선진국임을 자랑하지만 이러한 일터의 후진적 재해 상황을 극복해야 진정한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여름철에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을 하는데요. 여름철에 더 위험하고 이런 사고 발생 건수가 더 높아지는 이유는 뭘까요? 아무래도 여름은 무더위로 인해서 집중력이 저하되고 장마나 집중호우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기거든요. 사고 발생이 높아지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안전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안전수칙이나 매뉴얼을 무시함으로써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보통 어떤 사고들이 나죠? 이제 뭐 그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폭염이나 장마, 집중호우 등 이런 걸로 인해서 폭염의 경우에는 무더위로 인한 그 온열 질환이 발생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온열질환은 건설 현장과 같은 옥외 작업장소나 환기가 잘 안 되는 창고나 물류센터 같은 곳에서 주로 발생이 됩니다. 이러한 작업 장소에서는 근로자가 쉴 수 있도록 바람, 그늘이 있는 휴게 공간이 제공되어야 하고요. 시원한 물도 제공되어야 하고 무엇보다도 폭염 시에는 자주 휴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겠습니다.
또한 여름철은 장마, 집중호우로 인해서 붕괴 사고, 감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거든요. 붕괴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배수시설 등을 미리 설치해야 하고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 전 전원 상태를 반드시 점검해야 하며 젖은 손으로 전기 기계기구를 만지지 말아야 됩니다.
사실 모든 사고가 다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건 예방이잖아요. 그래서 특히나 이제 막 가장 더운 여름으로 지금 들어선 이 시점이어서 아마도 여름철 산업재해 사고들 예방하기 위해서 그동안도 계속 점검도 하시고 하셨을 것 같아요. 공단 차원에서 어떤 예방을 하고 계셨을까요? 저희가 지금 9월까지
기상캐스터 배혜지
네.
예방을 위해서 많이 노력을 하시고 하는데 매년 여름마다 산업재해 사고들이 일어나지 않습니까? 그런 이유는 뭘까요? 5대 온열 질환 같은 경우에는 5대 안전수칙이 있습니다. 5대 안전수칙은 물, 그늘, 보냉장구, 휴식, 응급조치로서
근로자에게 수시로 시원한 물과 바람, 그늘을 제공해야 되고요. 냉각조끼, 얼음주머니 등 개인용 보냉장구를 지급해야 되고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온열 질환이 의심될 경우에는 119로 연락하는 등 조치를 해야 됩니다. 또한 무더위에 적응이 떨어지는 고령 근로자와 신규 근로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관리도 당부드립니다. 올여름 폭염으로 더 덥고 무더위가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장에서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셔야 되는 부분이 굉장히 중요한 건데요.
이사장님도 근로현장에서 일을 하셨었잖아요. 예전에 경험 떠올리시면 한여름 폭염 이럴 때 뭐가 가장 힘드셨어요? 무더위에 쉴 수 있는 공간이 없었죠. 저는 철도현장에서 많이 근무를 했는데 특히나 철도현장은 그늘이 없습니다.
그래서 상당히 애를 먹고 그런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면 아무래도 현장을 누구보다 잘 아시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예방법, 온열 질환을 막기 위한 예방법에 더 신경을 많이 쓰실 것 같은데요. 지금은 그럼 철도 현장 조금 나아졌을까요? 지금 철도 현장은 그...
더울 때는 지금 좀 휴식을 취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필요하죠. 특히 외부에서 야외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은 폭염 때는 원래 일하시면 안 되는 거잖아요. 맞습니다. 그리고 철도 현장 선로는 더 덥습니다.
뜨겁잖아요. 체감 온도가 상당히 높죠. 그렇죠. 맞습니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 무엇보다 모든 근로자분들 포함해서 공단에서도 애써주고 계신 거고 아까 말씀하셨던 5대 안전수칙 다 준수해 주셨으면 좋겠고요. 무엇보다 사회적인 참여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사회적인 참여를 우리 공단만 해서는 안 되고 각종 사회단체가
같이 해야 되거든요. 그래서 지난 6월 25일에는 우리 양대 노총의 하나인 한국노총과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산업재해방지에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거든요. 근로자는 산업현장의 주체거든요. 산업현장 위험요인을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가장 잘 압니다.
근로자가 참여하는 위험성 평가 사업을 전개해서 위험 요인을 함께 발굴하고 지역별 전국 네트워크 구성에서 협력 기반을 강화할 계기입니다. 지금 현장에 있는 근로자들과 사용자들이 위험성 평가를 하는데 예를 들어서 현장에 계시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사용자와 위험성 평가를
위험성 평가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데요? 그러니까 현장 작업 현장에서 위험한 개선이 어디 어디냐. 현장에서 위험한 개선이 어디 어디냐.
현장에 계시는 근로자분들과 직접 이야기를 하는군요. 그렇죠. 사용자 그렇게 해서 거기에 조치를 하고 해야 되는데 그런 비정규직 신분일 경우에는 그런 부분의 발언이 약할 수가 있다. 그래서 이번에 한국노총과 협약 체결한 것은 그런 부분들을 조직이 된 노동조합에서 무언가는 역할을 해달라 하는 부분이 강합니다.
앞으로도 노동자 및 경영자 대표단체들과 파트너십을 확대함으로써 국내 안전보건 역량을 결집하고 산재 예방의 현장 작동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맞습니다. 노동자, 사용자 사실은 모두 소통을 많이 하셔야 되고 또 일하시는 분들 무엇이 필요한지 또 사용자분들도
예민하게 하나하나 다 살펴주셔야 되는데요. 이렇게 예방 안전수칙 준수 다 중요하고 사실 만약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고가 났을 때는 다시는 그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재발 방지를 하기 위해서도 사실은 중대재해처벌법이 있지 않습니까? 이번 새 정부 출범
조금 더 개선하거나 강화될 걸로 보이는데요. 이사장님 보실 때는 어떤 부분이 좀 개선돼야 된다 생각하세요? 시행 4년차를 맞는 중대재해처벌법이거든요. 법의 목적이 처벌보다는 예방에 있습니다.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충실히 이행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에게는 면책 사유나 인센티브를 명확히 부여하고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무시하거나 중대재해를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한 경영 책임자에게는 책임을 지게 하는 방향으로 실효성을 높여가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개선, 강화되어야 할 부분은 근로자 건강 분야를 생각합니다. 산업재해 사망자를 사고와 질병으로 구별하면
질병 사망자가 사고 사망자보다 훨씬 많습니다. 지난해 산업재해 통계에만 보더라도 질병으로 목숨을 잃은 근로자는 1,271명입니다. 사고 사망자 827명보다 444명이 더 많습니다.
지금도 근로자 건강을 위한 노력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더욱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군요. 개선되고 더 강화되어야 될 부분. 사실 저희가 산업재해 하면 보통은 사고 현장에서 사고를 생각을 하게 되는데
산업재해 중에 사고와 질병으로 나눌 수 있고 질병 사망자가 더 많군요. 많습니다. 직업병. 근로자들의 건강도 정말 신경을 써야 되네요. 네. 신경을 써야 됩니다.
그 부분이 좀 부족하다고 보시는군요. 네, 부족하고 우리 공단에서도 그런 부분에 대해서 많이 현재 연구를 하고 예방을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법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그리고 앞서 산재 예방 이야기를 계속 쭉 해주고 계십니다.
그런데 현장의 이야기를 보면 보통 작은 규모의 사업장들이 더 많이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이런 곳은 공단이든 정부 차원이든 좀 지원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데 어떠세요? 네, 맞습니다.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10명 중 8명이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들 사업장은 대기업에 비해 기술적, 경제적으로 산재 예방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적극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우리 공단에서는 50인 미만 사업장을 돕기 위해서 크게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기술 지원으로는 현장을 방문해서 위험 요인과 개선점을 알려주고
네, 지원도 꼭 필요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안전보건공단 김현중 이사장님이 이야기를 해주고 계신데요. 요즘에 이사장님이 밀고 있는 브랜드가 하나 있으시다고 들었습니다. 이름하여 K산업안전보건인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그래서 우리나라가 현재 선진국 대열로 올라갔고 또 뭐든지 다 잘하는데 안전만큼은 그렇지 못하거든요. 왜 그럴까요? 그래서 그 부분은 제가 볼 적에 국민성과 관련이 있는 걸로 봅니다. 빨리 하려고 하는 마음, 빨리 성취하려고 하는 마음.
이 마음 때문에 안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빨리 하고자 하는 마음 때문에 사고가 나지 않는가 하는 생각입니다. 사실은 그런 정신 때문에 저희가 산업 발전을 획기적으로 이뤄낸 것은 맞긴 한데 지금은 현장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어야 하는 것은 맞으니까요. 그래서 제가 얘기하는 것이 안전이 가장 빠른 길이다.
그리고 함께하는 안전은 더 빠르다. 이런 걸 주장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여기서 빠르다는 것은 목표 달성을 빠르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거거든요. 그래서 빠르게 하고자 하는 마음을 존중하면서 안전을 지키자는 인식을 바꾸자 하는 것이고요. 그래서 K산업안전이라고 하는 부분은 제가 이제 우리가 이런 국민성을 활용해서 10년 내에
세계 제일의 산업안전보건 국가를 이루자 하고자 하는 우리 공단의 지향점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산업안전보건체계 구축을 준비하자 하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난 5월부터 전사적으로 TF를 구성을 했습니다. 저를 포함해서 상임위원, 직원들이 공단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공단의 기존 사업 또 조직을 면밀히 검토하고
전략체계, 신사업 발굴을 해서 구체적 추진과제와 개선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입니다.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고 하는 만큼 우리의 국민성을 활용하면 안전도 충분히 세계화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국내 최고의 산업재해방지 전문기관이 우리 공단이 세계 제1의 산업안전보건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의 기틀을 다지고
체계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네 시간이 한 1분 반 정도 남았는데요. 이달에 산업안전에 관한 큰 행사가 열리네요. 이 행사도 간단하게 소개 좀 부탁드립니다. 이번 행사는 7월 7일부터 10일까지 열립니다.
일반 시민도 안전을 보고 즐기고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준비했습니다. 그래서 스마트 안전보건 박람회가 있거든요. 거기에 오시면 일반의료 안전과 거기에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을 만나보실 수 있고 실제 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7월 7일부터 열리거든요. 7일부터 4일간
산업안전보건 박람회가 열리고 또 5일간은
38개 세미나와 13개 우수 사례가 발표가 됩니다. 그래서 올해는 안전을 잃지 않는 모두의 행복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가지고 우리가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네, 알겠습니다. 7월 거의 한 달간 전국적으로 안전에 관한 행사가 열린다는 거 여러분 좀 잘 참고하셔가지고 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는 행사들이 있다고 하니까 그것도 좀 관심 갖고 지켜보시면 좋겠고요. 이사장님
会长先生,还有20秒左右。请您最后说几句话。因为我们人类是会犯错的,一千次做得好,一次做不好,一千减一不是999,而是0。一次失误,死亡,一切就都没了。所以我们认为,应该竭尽全力加强安全设施,让一千减一等于999,而不是0。
所以,为了让1000减1等于999,我们协会将尽最大努力。明白了。到此为止,安全保健协会会长金贤重发言完毕。谢谢。感谢。
实现“万一”梦想的咒语,无毒品的生活。不知不觉间,毒品已经渗透到我们生活的各个角落,它摧毁了日常生活中“万一”的梦想。为了守护我们的“万一”,我们怀揣着无毒品的未来梦想,准备了这段时间。智慧的广播生活特别企划,与毒品的战争第二季。在你的日常生活之间,第四集。24小时热线1342。
接下来要请出与我们一起参与节目的嘉宾了。我们邀请到了食品药品安全处毒品预防康复组组长金相贤先生。组长,您好。您好。
24小时热线1342。因为这是我们的第四集,所以虽然每次节目都会介绍1342,但今天我们将有机会更详细地向大家介绍它到底是什么。在正式开始之前,我们先通过简单的OX问答来简单了解一下今天的主题。您带来了OX牌子吗?因为是广播,所以请您一边举牌子,一边用语言回答OX。开始吧。
1.出于好奇心独自开始戒毒,仅靠个人意志绝对不可能成功?几乎不可能。O!
2.要接受戒毒咨询,必须在下午6点下班前打电话。6点之后也可以。X 3.打电话寻求戒毒咨询,一定会被当成毒品犯罪分子而受到处罚。不会。X 4.即使完成了毒品成瘾社会康复项目,也可能再次接触毒品。毒品具有很强的成瘾性。O
5.这是问答题。毒品成瘾的结局是什么?毒品成瘾的结局,我用四个字来概括:人生删除。到此为止。
四个字的回答太强硬了。人生删除,我们稍后再来详细讨论。今天我们通过五个问题简单了解了主题,之前我们讨论过毒品成瘾的现状、手法和预防,今天我们要讨论的是社会康复。我想先问一下这个问题:一旦染上毒瘾,还能戒掉吗?
首先要说明的是,一旦染上毒瘾,仅靠个人意志几乎不可能戒掉。毒品具有极强的成瘾性,即使只有一次使用经验,也会像树木的年轮一样刻在脑子里。此外,虽然程度因人而异,但它会给日常生活带来很大的困难。染上毒瘾后,
也就是说,很难独自戒掉,几乎可以说是不可能的。几乎不可能吗?通常戒烟也很难,我听说过很多这样的说法,很多人都是自己戒烟的,但毒品几乎是不可能的。他们都自信能戒掉,但最终几乎都失败了。所以很多人都是从好奇心开始的,这非常危险。
虽然是从好奇心开始的,但最终无法靠个人意志控制。仅靠个人意志非常困难,您说几乎不可能戒掉,那么要戒毒应该怎么做呢?据说,即使成瘾者下定决心要从成瘾中恢复,他们也会在每个时刻,无论白天、晚上还是凌晨,都会感受到诱惑和渴望。
因此,周围的关心和专业的支持是必不可少的。先说说周围的关心,周围的人应该帮助成瘾者不再接触毒品,过上正常健康的生活。也就是说,虽然成瘾者本人也必须有意志力,但家人,
119
报警电话112,做得很好。为了摆脱毒品成瘾,还可以拨打求助电话。1342,这个号码代表着24小时支持你日常生活的决心,记住这个号码就可以了。这是勇气一步中心的电话号码。
要记住1342。周围的关心和专业的支持是必不可少的。戒毒这件事,每个人都应该知道。不仅是吸毒者,周围的人也应该知道这件事。
也就是说,通常情况下,有人戒掉了毒瘾,戒毒期间得到了很多支持和帮助。戒毒时间相当长,几年了。有的人戒了十年。但是,对任何成瘾的
渴望仍然会或多或少地存在吗?是的,仍然存在。一旦认为自己完全戒掉了,再次接触毒品的那一刻,就会再次坠入深渊。是这样啊,太可怕了。
我说过要记住1342,拨打这个号码会得到什么帮助呢?1342是勇气一步中心。它的意思是鼓励人们勇敢地寻求帮助,它是一个24小时不间断运营,并严格保证匿名性的非面对面电话咨询中心。可以获得的帮助包括为使用者推荐附近的治疗医院,
以及因毒品滥用而产生的苦恼,以及因家人的成瘾而产生的困难,以及因毒品副作用而产生的自杀危机咨询等综合性服务。不仅是本人,家人、亲戚、朋友也可以打电话。
通常,拨打客户服务热线时,下午6点以后很难打通。这个号码可以24小时随时拨打。是的,24小时随时都可以拨打,甚至可以在国内外拨打。
现在大家都带着手机,直接在手机上拨打1342就可以了?是的。无论在哪里?是的。在国外也可以吗?在国外需要拨打韩国号码。是的,韩国号码1342。在国外也能拨打,这说明
也就是说,即使不是韩国人,例如外国人,只要会说韩语,也可以拨打吗?首先,目标人群包括在国外需要帮助的韩国人,无论是出差还是其他工作。留学生也可以。是的,是的。
如果是韩国人,即使在国外,拨打1342也可以进行非面对面的电话咨询。拨打韩国号码1342,因为是24小时,所以随时都可以,今天我想多介绍一些必要的资讯。电话接听量有多少?
我们去年3月开业,去年累计接听了大约4500个电话,今年5月累计接听了大约3400个电话。这样说可能不太容易理解,去年月平均接听量约为400个,而5月则达到了1000个。
大约增加了2.5倍。增加了这么多啊。仅从这个数字就可以看出,我国因毒品而苦恼的国民正在增加,我也作为毒品成瘾社会康复部门负责人,感到责任重大。可以从两个方面来看,一方面说明成瘾者增加了。
现在知道1342号码的人可能也多了。以前不知道,现在为了让更多人知道,食品药品安全处一直在努力。为了让国民知道1342号码,这种努力也产生了效果,我这样想。无论如何,需要的人一定要打电话。
打电话寻求咨询时,有些人会犹豫,因为这是关于毒品的咨询,会不会被警察抓走?刚才您说不会,对吧?是的。但是完全可以理解这种误解。但是,正如我刚才所说,1342勇气一步中心严格保证匿名性。
我们的中心不是为了向执法机关举报使用者,而是着重于通过社会康复帮助他们健康地回归社会。因此,如果您因为担心会受到处罚而犹豫不决,请不要担心,请立即拨打1342,开始康复,我恳切地希望如此。
那么,能否通过实际案例来解释一下,这样更容易理解呢?拨打了1342,因为成瘾。那么康复是如何进行的呢?由于要保证匿名性,所以很难详细说明案例,但我将简要介绍几个案例。通过1342勇气一步中心的电话咨询,
可以参加面对面康复项目,可以去我们全国17个勇气一步中心进行持续的戒毒,并表示感谢的人。
然后,如果成瘾程度严重,需要住院治疗,也有人联系我们说开始治疗了。不是一次就结束,而是如果建立了良好的关系,他们会多次打电话。最后,
凌晨,一位因毒品服用副作用而产生自杀冲动的患者打电话,中心咨询员与他进行了长时间的通话,使他平静下来,在他平静入睡后才结束通话,这是一个令人感动的案例。通常情况下,是非面对面的,不会透露自己的身份,只会通过电话询问非常想知道的事情,因为他们非常迫切,然后
随着彼此信任的积累,如果打电话的人下定决心要进行康复,就会转为面对面的康复项目。是的,是这样的。因为我们是匿名的,所以不会强迫,但如果我们这样引导,根据一些咨询者的需求,也会出现这种情况。
康复项目的过程实际上并不容易。您看到过哪些令人惋惜的事情吗?
许多毒品成瘾者处于社会孤立状态。入狱后人际关系中断,出狱后也很难恢复日常生活,生活就这样被毁了的情况很多。更重要的是,对成瘾者的社会看法
仍然是负面的,因此他们会躲到阴暗处,结果本来如果及早咨询,得到正确的指导,及早进行康复,时间会很短,但错过了黄金时间,戒毒失败,
长期受苦,我认为这是最令人惋惜的事情之一。成瘾者出狱后,会回归社会,成为我们的邻居。如果他们完全戒掉毒品,成为健康的社会成员,一起生活,我们的生活不都会更加富足美好吗?我怀着这样的希望。
完成社会康复项目的人,也可能再次接触毒品。因为不是一次就能结束的。所以食品药品安全处实际上是负责毒品成瘾社会康复的政府部门。
因此,为了让毒品成瘾者及其家人、朋友在全国各地都能方便地获得康复服务,从去年开始,我们运营了17个勇气一步中心。可以进行面对面咨询,从首尔到济州岛,全国主要城市都有,任何人都可以来这里开始康复。
在勇气一步中心,除了个人心理和成瘾咨询外,还会根据使用者的性别、年龄段和使用的药物提供量身定制的项目。从今年5月开始,我们还与法务部下属的法务保护福祉公团和我们的毒品防治运动本部签署了谅解备忘录,针对勇气一步中心的康复教育人员,
将就业支持项目与职业培训等相结合,帮助成瘾者顺利就业,回归社会,我们正在为此努力。这因人而异,康复项目时间很长的人,也有时间很长的人吗?是的,有。
我们的项目分为短期培训和长期培训,根据成瘾程度和情况,在专家的建议下,进行短期培训或长期培训,正如刚才
主持人所说,即使戒掉了,也可能再次接触,对于这些人,如果他们自愿入院,我们会再次应用
康复项目。电话当然是免费咨询电话,如果发展到面对面,参加康复项目呢?不用花钱吗?这部分费用由国家承担。如果您因为毒品成瘾而苦恼,请务必拨打1342。先打电话,非面对面地
倾诉您心中的苦闷,无法对任何人诉说的事情,请务必尝试一下。可以进行量身定制的康复项目,对吧?
毒品、兴奋剂、大麻被称为毒品,我们根据使用的药物种类,以及青少年和成人,分别制定了康复项目,并为成瘾者的家人开发了单独的项目。今年,我们将扩大对象,包括女性和居住在韩国的外国成瘾者
为儿童开发量身定制的康复项目,未来几年,我们将继续扩大针对校外青少年、军人等不同对象的量身定制项目。看来真的很需要啊。家人也不知道该如何帮助,是的。最好能提供一些帮助,第五个问题是毒品成瘾的结局是什么,您回答的是人生删除。
毒品成瘾的结局是人生被强制删除。为了摆脱毒品成瘾,而不是人生删除,而是人生重置,请随时随地拨打保证匿名性的1342,勇敢地联系我们。
您勇敢的一步,现在正是需要的时候。是的,请记住1342。到此为止,食品药品安全处毒品预防康复组组长金相贤发言完毕。组长,谢谢您。感谢。